고대 그리스의 공공 공간인 신전은 고대 그리스 인테리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고대 그리스 신전은 그들의 종교적 신앙과 예술적 역량을 대표하는 중요한 건축물입니다. 다음은 고대 그리스 신전의 주요 특징입니다:
- 칼럼: 신전은 주로 도로스, 프론토스, 네오스라고 불리는 세 가지 주요한 칼럼 양식으로 장식되었습니다. 도로스는 가장 오래된 양식으로 특징적인 두꺼운 기둥과 갈고리 모양의 장식인 볼루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론토스는 도로스보다 좀 더 가늘고 우아한 기둥을 가지고 있으며, 카프 또는 에코이스라고 불리는 약간의 곡선 형태의 장식이 있습니다. 네오스는 가장 가늘고 우아한 형태로 미니멀한 디자인과 슬림한 장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 엔티아브마: 신전의 입구에 위치한 엔티아브마는 중앙의 대문과 함께 신들을 환영하기 위한 앞마당으로 작용했습니다. 엔티아브마는 칼럼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칼럼을 지지하는 벽돌 또는 돌조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콜로네이드: 신전의 주요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콜로네이드는 일렬로 배치된 칼럼의 연속체입니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아름다운 시각적 효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 플라스터 장식: 신전의 벽면과 기둥은 주로 플라스터 장식으로 장식되었습니다. 플라스터는 대리석처럼 보이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고, 미니멀한 패턴이나 신들의 이야기를 담은 조각상 등으로 장식되었습니다.
- 운명 카피톨: 주로 도로스 칼럼에서 볼 수 있는 운명 카피톨은 주로 신전의 윗부분을 장식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신성한 공간을 상징하고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더했습니다.
고대 그리스 건축물의 벽은 주로 꾸밈없는 돌이나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몇몇 건축물에서는 벽화가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공간은 간결하고 대칭적인 디자인을 가졌으며, 주로 단순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대칭성: 대부분의 고대 그리스 건축물은 대칭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건축물의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며, 대칭성을 통해 아름다움을 추구한 것입니다.
- 칼럼과 엔티아브마: 칼럼은 고대 그리스 건축물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도로스, 프론토스, 네오스와 같은 칼럼 양식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건축물의 구조를 지탱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엔티아브마는 건축물의 입구에 위치하여 신들을 환영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 기하학적 형태: 고대 그리스 건축물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기하학적인 비율과 배치를 통해 조화로운 디자인을 구현했습니다.
- 부품과 장식: 고대 그리스 건축물은 섬세한 부품과 장식으로 장식되었습니다. 플라스터, 돌, 대리석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벽면과 기둥을 장식하였으며, 칼럼의 상단에는 카피톨이라고 불리는 장식이 있었습니다.
- 비례와 조화: 고대 그리스 건축물은 비례와 조화의 원칙에 기반을 두었습니다. 주로 골든 섹션 비율과 유리한 비례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균형과 아름다움을 창출했습니다.
- 개방적인 공간 계획: 고대 그리스 건축물은 개방적인 공간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중앙 홀과 주변의 갤러리와 콜로네이드 등이 결합되어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가구는 실용적이고 간결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음은 고대 그리스 가구의 주요 특징들입니다:
- 나무 사용: 고대 그리스 가구는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졌습니다. 주로 상수리, 자작나무, 올리브나무 등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나무는 그리스 지역에서 풍부하게 자랐습니다.
- 기능적인 디자인: 고대 그리스 가구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기능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가구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설계되었고, 주로 의자, 테이블, 침대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 간결한 형태: 고대 그리스 가구는 간결하고 깔끔한 형태를 가졌습니다. 대부분의 가구는 직각이나 곡선적인 선을 따르며, 장식이나 복잡한 조각은 최소화되었습니다.
- 낮은 의자와 상단 침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일상적인 활동을 위해 낮은 의자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바닥에 앉거나 낮은 플랫폼 위에 앉을 수 있는 형태였습니다. 또한, 상단에 발판이 없는 상단 침대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피복과 쿠션: 고대 그리스 가구는 피복과 쿠션으로 편안함과 아름다움을 더했습니다. 가구의 표면은 천이나 가죽으로 덮였으며, 의자와 침대에는 쿠션을 더하여 편안한 사용을 지원했습니다.
- 장식 요소: 가구에는 주로 나무를 조각하여 만든 장식 요소가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기하학적인 패턴, 식물 모티프, 동물 상을 형상화한 조각 등이었습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 가구의 장식은 가구의 실용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인테리어는 향기로운 식물과 꽃, 그리고 조각상과 그림 등의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었습니다. 다음은 고대 그리스 인테리어 문양의 주요 특징들입니다:
- 기하학적 패턴: 고대 그리스에서는 기하학적인 패턴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주로 직사각형, 삼각형, 원 등의 형태가 반복되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패턴은 바닥, 벽면, 가구 등에 적용되었습니다.
- 식물 모티프: 식물 모티프도 고대 그리스의 인테리어 문양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올리브 나무, 유칼립투스, 신성한 로터스 등의 식물을 형상화한 문양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식물 모티프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상징하며, 인테리어에 자연스러운 조화를 더했습니다.
- 그리스 열각: 그리스 열각은 특정한 모양의 패턴으로 장식된 테두리입니다. 주로 벽면, 천장, 가구 등에 사용되었으며, 대리석이나 피복을 사용하여 부각시켰습니다. 그리스 열각은 건축물이나 가구에 고유한 특징을 더해주는 중요한 장식 요소였습니다.
- 그리스 열기: 그리스 열기는 감싸는 형태의 문양으로, 주로 단선이나 이중선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열기 문양은 건축물의 주요 요소인 기둥이나 칼럼, 문 등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그리스 열기는 전통과 우아함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양으로 여겨졌습니다.
- 동물 상: 동물 상은 고대 그리스의 인테리어 문양에서도 종종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신화와 관련된 동물 상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동물의 형상은 인테리어에 비유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주요한 건축물입니다.
- 파르테논 신전: 아크로폴리스에 위치한 파르테논 신전은 고전 그리스 건축의 아름다움과 신념을 대표하는 건축물입니다. 이 신전은 도로스 칼럼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에는 주요한 신들을 위한 석상들이 있었습니다.
- 에렉테온(Erechtheion): "Erechtheion"은 아크로폴리스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신전으로 유명합니다. 이 신전은 에레흐테우스(Erechtheus)라는 신화적인 인물과 관련이 있으며, 아테나 여신과 포세이돈 신 등 여러 신들을 모시고 있습니다. "Erechtheion"은 에레흐테우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입니다.
- ※ 드로스테온(Drosteon): "Drosteon"은 일반적으로 "Drostylos" 또는 "Tholos"로 알려진 그리스의 템플(신전) 형식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Drosteon"은 특정한 건축물을 가리키는 명칭은 아니며, 일반적인 유형의 그리스 신전을 의미합니다.
'인테리어와 조경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의 역사 - 한국 통일신라시대 (0) | 2023.06.11 |
---|---|
인테리어의 역사 - 한국 삼국시대 (1) | 2023.06.11 |
인테리어의 역사 - 고대 로마 (0) | 2023.06.11 |
인테리어의 역사 - 고대 이집트 (0) | 2023.06.11 |
인테리어의 역사 개요 (0) | 2023.06.11 |